여기선 Mac 원격 연결, 그 중에서도 윈도우를 원격으로 쓰고자 하는 사람들을 위해 RDP Wrapper를 이용하여 연결하는 방법을 소개한다. 또한 Not Listening을 비롯한 여러 문제들의 해결방법 또한 제시한다.
윈도우10 Pro 버전에서는 자체적으로 원격 연결 기능을 지원하지만, (이 경우 뒤로가기를 눌러 따로 찾아보길 권장) Windows 10 Home 버전의 경우 그렇지 않다. 이 경우 좀 수고를 들여야 한다. 여기선 RDP Wrapper라는 걸 이용하는 방법을 소개한다.
그래도 엄청 어렵진 않으니까 천천히 따라가보자.
Step1. 공유기 포트포워딩
인터넷의 세상에 사는 우리는 집에 하나씩 공유기를 갖고있기 마련이다. 만약 없다면 앞으로 진행될 작업을 수행할 수 없으니, 싼 걸로다가 하나 장만하자.
필자가 사용하고 있는 공유기는 iptime이기에, 이를 기준으로 설명하겠다. 만약 당신이 쓰고 있는 공유기의 기종이 다르다면, 검색을 통해 본인에게 해당하는 기종의 공유기로 포트포워딩을 하는 방법을 찾아 수행하도록 하자.

우선 인터넷(Chrome, Microsoft Edge 등) 주소창에 192.168.0.1을 입력하고 Enter를 치면 아래와 같이 로그인창이 뜰 것이다. 로그인을 해준다. (기본 암호는 로그인 이름과 같은 admin이다. 근데 그대로 두면 해킹당하기 쉬우니 바꿔주자…)

관리 도구에 들어간다.

좌측 메뉴 막대에서 고급 설정 > NAT/라우터 관리 > 포트포워드 설정 으로 들어가면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온다.
아래의 탭에 주목하자. 이제 저 빈 칸들을 채워줘야 한다.
- 규칙이름 : 원하는 이름으로 설정하면 된다.
- 내부 IP주소 : 이건 각자 연결된 인터넷에 따라 다르다. 이를 알기 위해 Powershell 또는 cmd를 열어서 ipconfig를 입력하고 Enter를 쳐보자.
- 그게 뭔지 모르겠다면 윈도우 탭에서 ‘명령 프롬프트’ 라는 걸 찾아서 열어준 뒤, 까만 창이 뜨면 ipconfig를 입력해주자
- 그러면 아래 화면처럼 나오는데, 빨간 네모 안에 적힌 숫자가 내부 IP주소이다. 그대로 입력해주자

여기에 나오는 IPv4 주소를 잘 기억해두고 입력해주자
- 프로토콜 : TCP로 설정. 그렇게 하면 외부 포트와 내부 포트가 ‘3389’로 동일하게 자동으로 입력이 될텐데, 그대로 둔다.
- 포트번호는 바꿔도 된다고 하지만, 필자의 경우 잘 몰라서 그냥 뒀다. 표준이 3389라서 그냥 두는 게 편하다.
작성이 끝나면, 우측 하단의 ‘적용’ 버튼을 누른다. 그렇게 하면 상단에 규칙 하나가 생성되어 있을텐데, 정상적으로 뜨면 공유기 포트포워딩 작업은 끝난 것이다. 이제 다음으로 넘어가보자.
Step2. RDP Wrapper 설치 및 세팅
이 부분이 가장 골 때리는 부분이다. 여기를 잘 해내면 사실 거의 다 끝낸 것이다
위에 언급했듯 윈도우 10 Home 버전은 자체적으로 원격 연결을 할 수 없기 때문에 RDP Wrapper라는 걸 사용할 것이다
위 문장에 걸린 링크를 클릭하면 RDP Wrapper의 github 사이트가 나올텐데, 거기서 RDPWrap-v1.6.2.zip을 다운로드하자.
편한 곳에 압축을 풀어주고, 다음 순서로 실행시켜주자
install.bat → update.bat → RDPConf.exe
여기서 주의할 점은, 마우스 우클릭을 해서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해야 한다

마지막 걸 실행시키면 이런 게 뜰텐데, 저렇게 3개의 state 모두 녹색 글씨로 뜨면 모든 준비가 끝난 것이다.
여기까지 잘 따라왔으면 대개 위의 두 개는 녹색 글씨일텐데,
대부분의 경우 마지막의 Listener state가 빨간 글씨로 뜨게 된다. 이럴 때는 해결을 해줘야 한다.
필자도 이걸로 고생을 조금 했다. 정말 온갖 방법들을 시도했는데, 필자에게 효과적이었던 방법만 남겨보겠다.
(아래의 방법으로 해결되지 않았다면 구글 검색을 통해 다른 방법을 찾아야 한다.)
방법 1. rfxvmt.dll 수정
가끔 윈도우 업데이트를 하면 이게 말썽이 된다. 그럴 때마다 자신의 버전에 맞게 rfxvmt.dll을 수정해줘야 한다.
rdpwrap github issues 에서는 이런 다양한 문제 상황에 대해 논의하는 타래가 있다. 링크에 들어가서 본인의 윈도우 버전에 따라 맞는 방법을 시도해보면 대체로 거의 모두 해결이 된다.
위 링크에서 바로 보이는 ghost좌의 “64-bit Windows 10” 을 다운받았더니 필자의 경우 바로 해결이 되었다. 저 zip 파일 안에는 rfxvmt.dll 이라는 파일이 있는데, 해당 파일을 C:\Windows\System32 에 위치시키면 된다. (아마 이미 있는 파일일텐데, 덮어써준다.)
필자와 윈도우 버전이 다른 경우에는 해결이 안 될수도 있을 것이다. 자신의 구체적인 윈도우 버전에 맞는 걸로 써야한다는 점을 유의하자. 내 윈도우 버전을 확인하는 방법
방법 2. rdpwrap.ini 수정
또 한 가지 가능성은 rdpwrap.ini 의 업데이트가 필요한 경우이다.
위 링크를 클릭해서 모든 내용을 복사한 뒤, rdpwrap.ini 라는 이름으로 저장해둔다. (확장자가 .ini여야 함에 주의한다)
이 파일이 준비되면, 잠시 RDP를 잠시 꺼줘야하니 윈도우 탭을 열어 ‘서비스’ 에 들어가주자 (아래 이미지 참고)


이제 서비스 목록들이 보일텐데, 정확히 “Remote Desktop Services” 에 해당하는 걸 찾아 더블클릭 후 “중지” 를 눌러준다. 그다음 rdpwrap.ini를 C:\Program Files\RDP Wrapper 에 위치시켜준다. (역시 덮어쓴다)
그 후 다시 서비스에서 Remote Desktop Services를 시작해주면, 제대로 녹색불이 켜지는 걸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위 두 가지를 수정해주면 열 중 아홉은 해결이 된다. 그렇지 않다면, github issues 타래 혹은 구글(…)을 더 찾아봐야 할 것이다.
Step3. Mac 원격 세팅하기
이제 거의 다 왔다. 원래 우리가 하려고 한 건 Mac 원격 연결이다
사실 이걸 위한 준비작업이 너무 길었던 나머지(…) 이제야 Mac이 등장한다.
여기부턴 할 게 많이 없다. 우선 App store에서 Microsoft Remote Desktop이라는 걸 검색해 다운로드한다.

이것이 바로 Mac 원격 연결을 간단하게 할 수 있게 만들어주는 앱이다
저 앱을 열어주면, “Add PC” 라는 걸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이제 빈 칸을 채워주면 된다.
- PC name : 외부 접속 IP를 입력해주면 된다. 위에서 Windows 머신 준비할 때 들어갔던 192.168.0.1 에서, 관리 도구에 들어가주면 바로 확인할 수 있다. (아래 이미지 참고)
- User account : Windows PC 접속할 때 입력하는 아이디와 패스워드를 넣어주면 된다.

이정도만 채우면 된다
이제 PC 하나가 등록되었을 것이고, 외부 인터넷에서 접속하면 익숙한 윈도우의 화면이 뜨면서 원격 연결이 성공한 걸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끝!